진보와 진화의 경영, 디자인 경영
Marketing의 진보 Designing, Science의 진화 Designence
Written by 브리짓 보르자 드 모조타
시즌1 / Vol.10 디자인 경영 (2009년 06월 발행)
[management] 1. 경영, 관리, 지배, 감독; 경영[지배]력, 경영 수완, 처리 능력, 행정력 2. [U.C] [the management; 집합적] 경영진, 경영자측, 회사; 경영자, 관리자 3. a 취급, 처리; 통어, 조종 b 변통; 술책 ‘디자인 경영’의 영어식 표현은 ‘Design Management’이다. 여기서 Management는 ‘경영’으로 해석해야 할까, ‘관리’로 해석해야 할까? ‘경영’과 ‘관리’는 의미상 맥이 통하는 용어들이기 때문에 흘려 들을 수 있다. 그렇지만 학문적으로는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상이한 범주의 용어가 되는 것은 틀림없다. 어찌 되었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management를 대부분 ‘경영’으로 해석하고 있고 그에 따라서 Design Management도 디자인 ‘경영’이 되었다. 그런데 이번 디자인 경영 특집을 준비하면서 디자인 경영이란 용어가 얼마나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는지 여실히 느낄 수 있었다. 작게는 ‘디자인 팀 관리’ ‘디자인 프로젝트 관리’를 의미하는 용어에서부터 시작하여 크게는 ‘디자인을 경쟁 우위 요소로 두고 경영하는 것’ ‘디자인 마인드로 경영하는 것’ 심지어 ‘창조적 마인드로 경영하는 것’ 등 폭넓은 스펙트럼 안에서 이해되고 있었다. 물론 정답은 없을지 모른다. 하지만 management가 ‘관리’이든 ‘경영’이든, 그리고 확장된 해석과 파생된 의미로 사용이 되고 있든, 그 본래의 의미를 알아야 의미가 있는 법이다. 이러한 혼재된 개념어에 대해 꼭 한번 상세하게 물어보고 싶은 사람이 있었다. Design Man¬agement(영문으로 써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에 관한 세계적인 구루인 브리짓 모조타 교수, 그리고 그녀의 저서 《Design Management》를 한국에 소개한 김보영 교수이다. 그들에게 ‘디자인 경영’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활용되는지, 그리고 디자인 경영이라는 용어를 혼란스럽게 만든 용의자 중 하나임이 분명한 ‘디자인’에 대해서 들어본다. * 원고에 게재된 표는 《디자인경영 (2008, 디자인네트)》를 참조하였습니다.

* 이 아티클의 전문을 읽으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1. 현재 유니타스브랜드는 매거북의 모든 기사를 온라인에서 편리하게 보실 수 있는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멤버십 안내 페이지 바로가기)
2. 기사는 무료(share) 기사와 유료 기사로 구분되어 있으며 온라인 로그인 시 무료 기사를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3. 무료 기사는 [MAGABOOK > 전체보기]에서 볼륨별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는 MAGABOOK 메인 페이지에서 '무료 기사 보기'를 이용해 주세요.
4. 이 기사에 대한 PDF는 리디북스(유료)(http://ridibooks.com)에서 만나 보실수 있습니다.
디자인 경영의 정의, 디자이닝, 디자인 전략, 스타일링, 조직 내 디자이너의 역할, 전략의 시각화, 디자인 기능의 변화, 경쟁우위, 디자인 일관성, 디자인 경영, 디자이넌스, 디자인 성숙도, 디자인을 통한 혁신, 디자인 조직, 디자인 사명, 디자이너 같은 경영자, 디자인 마인드, 스마트 브랜딩
관련배지
* 이 아티클을 읽을 경우 획득할 수 있는 배지 리스트입니다. (배지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