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의 자기다움, 사람으로 완성하다: 고어
Step 1. G to G: Gene to Gene
Written by 김인규
시즌2.5 / Vol.27 브랜드의 제자도, 브랜드십 (2012년 10월 발행)
직원의 50~60%가 자신이 리더라고 생각하는 기업, 360도 전방위 시스템을 통해 서로가 서로를 평가하는 기업, 대표의 집무실이 없는 기업, 직책이나 직급에 상관없이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기업. ‘이런 기업이 실제로 존재할까?’라는 질문을 하는 건 당연한 일일 테다. 하지만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다. 이 기업에는 기업이라면 응당 있어야 할 규칙이나 법규 같은 것이 거의 없다. 대신 도전적이고 실험적이며, 어떤 것은 신비롭기까지 한 ‘그들만의 약속’이 존재할 뿐이다. 이 기업은 다름아닌 고어(Gore)다. 지난 Vol. 16 ‘브랜드십’ 특집을 통해 고어를 소개하고 난 후, 지금까지도 위의 질문을 받고 있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고어가 가진 조직문화는 여느 기업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질문은 이렇게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고어는 ‘어떻게’ 이러한 조직문화를 가지게 되었을까?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고어는 ‘어떻게’ 초전도체의 브랜드십을 가지게 되었을까? 자, 한번 생각해보자. 고어는 초전도체(Vol. 16 p. 32 참조)가 된 리더로 인해 브랜드가 지향하는 핵심가치가 중심이 되어 기업이 경영되고 있음을 Vol. 16을 통해 얘기한 바 있다(Vol. 16 p. 82~93 참조). Vol. 16에서 다루었던 4개의 브랜드십 유형 중 굳이 가장 어려운 것을 꼽아보면, 초전도체가 아닐까. 왜냐면 이것은 리더가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모든 권한을 전부 역행하는 것으로 철저하게 ‘내려놓음’이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고어가 초전도체 브랜드십을 가질 수 있는 비밀이다. 브랜드십의 첫 번째 단계인 Disciple이 다름 아닌 이것이기 때문이다.

리더가 초전도체가 되면, 조직은 이렇게 바뀐다. 조직 구성원들의 저항이 0이 되어 브랜드의 핵심 가치를 가지고 기업을 경영해 나가는데 장애물이 없으며, 브랜드의 핵심 가치가 왜곡되거나 변질이 되지 않고 무한히 흐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더가 자신이 아닌 브랜드에 집중하기 때문에 브랜드를 띄우게 된다. 결국, 초전도체가 된 리더가 있는 기업은 강력한 브랜드십을 구축하며 영속가능경영을 향한 초석을 마련하게 된다. 《경영의 미래》에서 게리 하멜이 미래 경영의 모델로 고어를 꼽은 것도(물론 그는 초전도체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았지만) 바로, 초전도체가 된 리더로 인해 조직 전체가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수평적인 시스템을 주목했기 때문이다.
지난 Vol. 16에서 고어의 수평적인 시스템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인터뷰다. 이 말의 어디에도 ‘리더’이기에 누려야(?) 하는 특권은 없다. 다시 말해, 여기에 리더와 리더가 아닌 사람에 대한 구분은 없다. 오직 브랜드십만이 있을 뿐이다. 그렇다면 다시 이 질문을 해보자. 고어는 어떻게 초전도체의 리더를 만들 수 있었을까? 그 답을 찾기 위해 가장 먼저 살펴보아야 하는 것은 다름 아닌 고어의 기원이다. 기원을 뜻하는 ‘origin’의 어원이 유전자 ‘gene’의 어원과 같은 계보인 것을 안다면, 왜 기원을 좇아가 봐야 하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곳에서 존재의 본질인, ‘자기다움’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비단, 인간에게만 중요한 질문이 아니기 때문이다.
고어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가장 마지막 지점에서 만나는 것은 더글라스 맥그리거의 ‘Y이론’이다. 당시, 대부분의 기업들은 X이론 위에 Y이론을 눈요기로 약간 덧칠한 경영을 하고 있었다. 그러니까 직원에게 필요한 것은 ‘그들을 통제하고 강제할 수 있는 규율과 처벌’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하지만 고어의 창업자인 빌 고어의 생각은 조금 달랐다. 분명, Y이론만으로도 기업을 경영할 수 있다고 그는 확신했다. 사람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지 않고 자신의 마음대로 일할 수 있는 선택권을 준다면 오히려 통제나 규율이 있을 때보다 훨씬 더 놀라운 일들을 해낼 수 있을 거라는 믿음이 있었다. 빌 고어가 이토록 Y이론에 대해 맹신에 가까운 믿음을 보인 이유는 무엇일까? 여기가 바로 출발점이다.
빌 고어는 맥그리거의 Y이론을 바탕으로 창업했다. 왜 그는 인간을 소위, Y형이라고 생각했는지 궁금하다.
* 이 아티클의 전문을 읽으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1. 현재 유니타스브랜드는 매거북의 모든 기사를 온라인에서 편리하게 보실 수 있는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멤버십 안내 페이지 바로가기)
2. 기사는 무료(share) 기사와 유료 기사로 구분되어 있으며 온라인 로그인 시 무료 기사를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3. 무료 기사는 [MAGABOOK > 전체보기]에서 볼륨별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는 MAGABOOK 메인 페이지에서 '무료 기사 보기'를 이용해 주세요.
4. 이 기사에 대한 PDF는 리디북스(유료)(http://ridibooks.com)에서 만나 보실수 있습니다.
초전도체를 닮은 리더, 초전도 현상, Disciple, 경영의 미래, 오리진과 온리진, 브랜드십, X이론, Y이론, 자기다움으로 남과 다름, 평범함에서 비범함, 평범함 속의 가치, 수평적 사고, 고어컬처, 삶에 스며든 브랜드 문화, 팔로워, 문제는 사람, right people, 이기적 유전자, 밈 바이러스, 컬처교육, 직원 교육, 브랜드 핵심 가치, 비전기업, 동기부여, 동반성장, 운명공동체, 운명의 소유, 인간욕구를 경영하라, 브랜드와 닮은 사람, 브랜드 싱크, 브랜드의 제자도, 브랜드 철학
관련배지
* 이 아티클을 읽을 경우 획득할 수 있는 배지 리스트입니다. (배지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