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카드스러움 그리고 현대카드스럽게... 현대카드
브랜더의 성지순례, 디자인 경영의 성배
시즌1 / Vol.10 디자인 경영 (2009년 06월 발행)
다른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자사 브랜드에 덧입히기보다는 자신만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디자인과 브랜딩을 운영하는, 즉 애플 증후군에 걸리지 않은 디자인 경영의 '기준'을 찾기 위해서 각계의 교수 및 전문가들에게 의뢰했을 때 가장 많이 지목되는 기업이 현대카드였다. 원래 디자인의 목적은 눈의 즐거움에 있다. 하지만 카드를 자랑하려고 목에 걸고 다니는 사람은 없다. 지갑에 꽁꽁 숨겨놓는 그런 상품이다. 하루 평균 만져보는 시간은 1분이 채 넘지 않을 것이다. 카드 옆면도 디자인 했다는 현대카드의 디자인 편집증은 무엇 때문일까?

경제구조에서 인간을 ‘단순 소비자’로 보지 않고, 문화와 가치를 체험하고 싶은 ‘복합 소유자’로 바라보게 되면서 ‘브랜드 인류학’이라는 새로운 관점의 신조어가 실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인류학이란 인류 문화의 기원과 특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생물로서의 인류를 연구하는 형질 인류학과 인류가 형성하는 문화와 사회의 구조를 조사하고 연구하는 문화 인류학이 있다. 여기서 브랜드 인류학이란, ‘브랜드’를 인간의 문화와 함께 구조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인간의 정체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최근 사이코패스와 같은 연쇄 살인범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연구하는 기법인 ‘프로파일링(Profiling)’이라는 단어를 흔히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이미 기업에서는 프로파일링 기법을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 가치관 그리고 경쟁 브랜드의 분석까지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 이 아티클의 전문을 읽으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1. 현재 유니타스브랜드는 매거북의 모든 기사를 온라인에서 편리하게 보실 수 있는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멤버십 안내 페이지 바로가기)
2. 기사는 무료(share) 기사와 유료 기사로 구분되어 있으며 온라인 로그인 시 무료 기사를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3. 무료 기사는 [MAGABOOK > 전체보기]에서 볼륨별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는 MAGABOOK 메인 페이지에서 '무료 기사 보기'를 이용해 주세요.
4. 이 기사에 대한 PDF는 리디북스(유료)(http://ridibooks.com)에서 만나 보실수 있습니다.
애플 적조현상, 브랜드 인류학,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아이덴티티, 편집증, 디자인을 통한 혁신, 브랜드 서체, 디테일 매니지먼트, 브랜드 통합성, DOs & DON'Ts, 금융 브랜드, 브랜드 케이스, 서비스 브랜드, 동시성, 브랜드 경험 디자인, 경영자 같은 디자이너, 디자이너 같은 경영자, 창조성
관련배지
* 이 아티클을 읽을 경우 획득할 수 있는 배지 리스트입니다. (배지란?)